정지궤도 :36,000km (적도를 중심으로 돔)
극궤도 : 600~800km (극 지방 중심)
타원궤도 : 고도가 시시각각
인공위성 size
1U : 10*10
2U : 10*20
6U : 20*30
+) 우주환경 지식
: 방사선 많고 400km이하에는 산소원자가 분포->플라스틱 등이 일부에는 원자 상태의 산소에 의해 구멍 발생
궤도역학 //// STK프로그램(Satellite Tool Kit)공부
마이크로 컨트롤러 -> C언어에 의한 PIC 프로그래밍 추천
UNISEC 가맹 (Cubesat 영리단체)
www.unisec-global.org/meeting7.html
UNISEC Global > 7th UNISEC-Global Meeting
The Seventh UNISEC-Global Meeting 1. Purpose Taking note of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UNISEC-Global, “ to help create a world where space science and technology are available by every country for the benefit of humankind” and being accepted as Perma
www.unisec-global.org
전원계 : [ 태양전지셀 , 배터리 승압(강압)회로 ] + 마이크로콘트롤러가 포함한 전자회로
통신계 : 수신안테나 ,수신기, 케이블, 송신안테나,송신기,케이블
C&DH계 : 두뇌역할
열제어계 : 초소형 위성에는 딱히 필요 없음( 히터정도만 필요 )
BBM(Bread Board Model) ------> PDR(예비 설계 검토) --------->CDR(상세 설계 검토) ---> FM(Filght Model)
EM제작(Engineering Model)
:우주환경 전/후 실험
*3중 방책( 3 mechanical inhibitors) : 백업 3중으로 하자
실제 제작 돌입 전에 [ 일정 수립 , 개발 기간 동안 BBM, EM ,FM 이용해 무엇을 증명할것인지 ] 결정하기
최초로 해야할일 : 미션 결정하기(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도움이 되는 의미 있는 미션이었으면...)
최소한의 진동시험 ,온도 시험 필수 +)방사선 ,충격, 열 진공 시험
다운링크 : 우주에서 지상국 (UHF 430~440MHz)
업 링크 : 지상국에서 우주 (VHF 144~146MHz)
+) 아마추어 위성은 S대역 사용
발사할때 (로켓) cold launch(전원 off) ,100초 내 진동 (압력 견딜수있어야됨) , Outgasing (보통 물체는 진공환경에서 물체로부터 가스 방출)
궤도의 6요소 (124p) : 위성 개발자의 소양..... 추후 공부를 해야됨....
*CW( 소위 비콘) : 전력 적게 , 간단한 정보
FM 패킷 통신 : 전력 크게 , 데이터 많이
자유공간 손실 : f가 높을수록 손실 높음
시스템 잡음 온도 : 지상국에서의 Noise에 의한 전송손실을 온도로 환산
**통신은 AOS(Acquisition Of Satellite)직후 위성 상태 확인 , 이때 배터리 전압,온도,HK데이터 중에서 중요한 데이터만을 전파로 지상에 송신 ---> 그 다음에 위성에 데이터를 다운링크 시작
------> 또 LOS 벗어나기 직전 , 데이터 다운링크를 중지하고 정상 주회상태등으로 회복하는것 확인/ 다른 임무 수행 커맨드 업링크
*전파 출력 : '회선설계표' 를 만들어 본다.
*안테나 제작: 접지를 올바르게 하기 , 길이 조정하는 것
전기 신호가 흐르는 중 임피던스와 안테나 임피던스가 맞지 않으면 -> 그 신호의 전력이 안테나에서 되튕겨짐->손실발생
*VSWR : 1이면 임피던스 낭비 없이 전파송출 ( 리턴 로스가 0일때)
: 1보다 높을수록 손실 높아짐
*외란토크 : [ 전류자기 토크 / 대기저항 토크 / 태양 복사압 토크 / 중력경도 토크 ]
*자기토커 : (1)코일의 권수가 높을수록 (2)코일을 감은 단면적이 클수록 (3)코일감는 부분물질의 실효투자율 높을수록
--------->큰 제어토크 발생
3개 필요함
<전력>
리튬이온전지 : 온도변화 적고, 설계시 예상한대로 결과를 냄
열평형 방정식으로 위성 외부표면/내부 2part 나눠 온도 계측
위성 전체를 1part로 온도 계측
알루마이트 처리 : 위성 내부의 방사를 증진시켜 온도가 불균일하지 않도록 함.
<구조체>
구조체가 로켓 측의 요구조건 등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,
-> 정하중 해석 및 고유진동수 해석 수행
+a) 구조체에 탑재기기 고정하는 나사 등 전체에 대해 그곳에 작용하는 응력이 허용응력보다 작은지 판단
(일반적으로 허용 응력의 1.5~2배에 대해서도 파손되지 않도록 설계)
응력 .고유진동수 계산 ->CAD , FEM(유한요소해석) 이용
방사선 노출
1) 총선량(Total Dose) 효과 : 방사선 계속 노출되면 축적되어 탑재기기 손상 야기
2)단일사건(Single Event) 효과 : 1)단일 사건 고장(SEU) 2)단일 사건 래치업(SEL)